반응형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온라인패키지:머신러닝서비스구축을위한실전MLOps#머신러닝서비스구축을위한실전MLOps온라인패키지Online. 3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8일차

3. Docker Image 저장소 도커 이미지를 남들과 공유하기 위해서 어딘 가에 저장을 하고 그 저장소로부터 이미지를 다운받을 수 있는 명령어들을 확인해보겠다. 1) Docker Registry 공식 문서 https://docs.docker.com/registry/ 간단하게 도커 레지스트리를 직접 띄워본 뒤에, 방금 빌드한 my-image:v1.0.0 을 도커 레지스트리에 push (업로드)해보겠습니다. Docker Registry 는 이미 잘 준비된 도커 컨테이너가 존재하므로, 쉽게 사용할 수 있습 니다. docker registry 를 띄워봅니다. $ docker run -d -p 5000:5000 --name registry registry -d :백그라운드 5000port로 레지스트리라는 이름..

MLops 2022.01.31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5일차

1. YAML 이란? 데이터 직렬화에 쓰이는 포맷/양식 중 하나 데이터 직렬화란? 서비스간에 Data 를 전송할 때 쓰이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작업 ex) 쿠버네티스 마스터에게 요청을 보낼 때 yaml,json 파일의 형태로 요청을 보내야한다. 다른 데이터 직렬화 포맷 XML, JSON yaml 파일 포맷 .yaml, .yml 2. YAML 특징 다른 데이터 직렬화와 다르게 yaml 데이터 가독성이 좋다. 가독성 YAML 은 사람이 읽기 쉽도록 디자인 YAML 포맷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example spec: containers: - name: busybox image: busybox:1.25 JSON 포맷 { "apiVersion": "v1", "ki..

MLops 2022.01.28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4일차

수 많은 컨테이너들을 정해진 룰에 따라서 알아서 잘 관리해주는 기술이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다. 가장 핫한 기술이 쿠버네티스 핫한 기술 이지만 설치부터 쉽지가 않다. 운영하고 모니터링 하면서 사용 중에 장애가 발생하면 그 이슈를 해결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다. 많은 기술력이 필요하다. aws,gcp,azure 대표적인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쿠버네티스를 감싼 관리형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사용자는 진짜 사용에만 집중할 수 있다. 설치나 사용 중 장애가 발생해도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안정된 쿠버네티스를 사용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를 처음 접하는 사람은 명령어 1~2개로 가볍게 설치하고 삭제할수도 있다. 마음껏 사용할 게 해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존재한다. minikube,microk8s,k3s 쿠..

MLops 2022.01.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