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ops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4일차

Laftel 2022. 1. 27. 09:10
반응형

수 많은 컨테이너들을 정해진 룰에 따라서 알아서 잘 관리해주는 기술이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다.
가장 핫한 기술이 쿠버네티스
핫한 기술 이지만 설치부터 쉽지가 않다.
운영하고 모니터링 하면서 사용 중에 장애가 발생하면 그 이슈를 해결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다. 많은 기술력이 필요하다. aws,gcp,azure 대표적인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쿠버네티스를 감싼 관리형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사용자는 진짜 사용에만 집중할 수 있다. 설치나 사용 중 장애가 발생해도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안정된 쿠버네티스를 사용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를 처음 접하는 사람은 명령어 1~2개로 가볍게 설치하고 삭제할수도 있다. 마음껏 사용할 게 해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존재한다. 
minikube,microk8s,k3s
쿠버네티스들의 기본적인 리소스들을 생성한다. 쿠버네티스랑 다른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프로그램의 차이점.
쿠버네티스에는 desired state . 즉, 원하는 상태의 개념이 존재하고 그에 맞게 선언형 인터페이스으로 요청을 수행한다. 
예. 사용자가 쿠버네티스에 a라는 리소스를 생성하고 싶다고 요청을 할 때 세세하게 명령을 내릴 필요없이
"a라는 리소스가 하나 있는 상태를 바라고 있어." 대신, a라는 리소스가 쿠버네티스가  어떤 일을 하든 중간에 3개,2개가 되었다가 1개가 되든 상관하지 않아. 그냥 1가 있는 상태를 계속 유지시켜줘. 방식으로 선언을 한다.
에어컨 희망온도를 선언한다. 원하는 온도. 최종결과만 선언한다.
선언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a라는 리소스가 있는 상태를 desired state라고 한다.
쿠버네티스 내부도 선언형 인터페이스로 리소스들을 관리하도록 구현되어있다.
또 다른 특징은 Master ,Worker 역할의 Node들이 분리되어 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보통 하나 이상의 서버를 묶어서 구축을 한다. 이런 식으로 클러스터를 구축하게 되면 물리적으로 여러 대의 서버가 분리되어 있어도 실제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한 번 가상화가 되어서. 즉,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화가 되어서 사용자는 하나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처럼. 여러 대의 서버를 마음 껏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이 쿠버네티스와 클라우드의 기본적인 컨셉이다.

하나 이상의 서버로 묶인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보통 마스터 역할을 하는 소수의 컨트롤 Plane 노드와 Worker 역할을 하는 다수의 노드들로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 plane 노드는 여러 개의 worker 노드들을 관리하고 모니터링 하면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게되고 어떠한 요청이 오면 요청에 맞는 worker 노드들을 스케줄 링해서 해당 노드로 요청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때 사용자,클라이언트가 보내는 요청을 받는 컴포넌트 이름이 쿠버네티스 cube API서버이며 사용자가 보낸 요청의 desired state를 key value 형식으로 저장하는 DB가 etc라는 컴포넌트이다
컨트롤 plane의 내부의 cube api 서버가 전달해주는 요청을 worker 노드에서는 실제로 수행을 해야한다.
그 과정에 있어서 컨트롤 plane 으로부터 명령을 받고 또 본인의 worker 노드의 상태를 다시 컨트롤 plane 에게 cube api 서버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컴포넌트가 kubelet이다. 각각의 worker 노드 내부에서는 kubelet 명령을 다시 받아서 도커나 컨테이너-d 같은 컨테이너 런타임 엔진이 실제로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쿠버네티스를 제대로 알려면 10시간 강의가 든다고 한다.
핸즈온의 형태로, 쿠버네티스의 기본적인 리소스들을 관리자가 아닌 사용자의 입장에서만 배워보는 시간이었다.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온라인패키지:머신러닝서비스구축을위한실전MLOps#머신러닝서비스구축을위한실전MLOps온라인패키지Online.

https://bit.ly/37BpXiC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