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장 10

요즘 것들이 수상해 1화

월 수 금을 새벽 6시부터 일을 시작해 오후2시에 종료하여 월 400만원을 버는 청년이 있다. 자기가 사장이고 엄마와 함께 청소 회사를 운영 중 이다. 그리고 화 목 토에는 자기의 전공인 프리랜서 일러스트 작가로 돈을 번다. 자기의 청소 일의 경험을 담은 만화 책도 냈다. 그는 자기는 회사를 1년 다니고 자기는 조직생활과 맞지 않다는 걸 알고 퇴사했다. 빠니보틀 2019년에 여행 유튜버로 시작해 122만 유튜버가 되었다. 영상의 컨셉은 세계여행을 다니면서 적은 돈을 들여 여행 다니기. 코로나로 인해 여행을 못 가 한 번 만들어봐야겠다 라는 마음으로 맏는 좋좋소로 칸까지 가게 되었다. 영상촬영,편집 혼자 다 한다고 한다. 빠니보틀은 한 회사를 최대로 다닌 기간은 1년. 자신은 사무직과 안 맞다고 하였다. ..

성장 2022.05.27

기획자

마케팅관련 책을 많이 읽었는데.. 기획자 관련된 책을 여러권 읽으면서 저자분들이 공통적으로 해주시는 말씀이 기획을 할때, 기획 또는 이벤트가 대박난것을 참고해서 하는 분위기가 있는데, 그런것을 참고하면 안된다고 하더라구요. 기획을 할때 회사의 근본을 생각해보라고 했었어요. 그 이후에 1. 이 이벤트를 왜 하는가. 회사가 소비자에게 어떤 어필을 하고싶어하길래 이런 이벤트를 하는것인가를 생각하기. 2. 중심이되는 소비자 타켓층을 잡아라. 이렇게 생각하다보면 어떤 기획이 먹힐지 감이 온다고

성장 2022.01.26

대체 불 가능한 삶을 위한 '선택의 기준'

인생은 곱셉과 같다. 내 인생에 주어지는 기회가 많아도 내가 0이면 사실 다 0일 뿐이다. 내가 0이 되지 않기 위해서 항상 도전하려는 자세로 살면 기회들이 많이 주어지고 실패를 하든 성공을 하든 결과가 나온다. 본인만의 스토리를 가진 사람이 대체 불가능한 사람이다. 남이 원하는 잣대에 나를 맞추면서 살다 보면 내가 이 길을 왜 걸어왔냐고 물어봤을 때 내 인생의 철학에 빗대어서 설명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라. 결정의 순간 속에서 남의 결정이 아닌 자기의 기준으로 선택을 해라.

성장 2022.01.10

인생은 고통이다. BUT 꿈/목표는 인생의 정체성.

https://youtube.com/watch?v=WGVT2PmOXfo&feature=share&ab_channel=%EC%8B%A0%EB%B0%95%EC%82%ACtv 원하는 것, 기대와 내 능력이 간극이 클수록 고통은 거대 원하는 것, 기대와 내 능력이 같으면 고통은 0 꿈/목표는 인생의 정체성. 꿈/목표 를 쫒고있다면 고통은 당연. 이거를 인지하면 내가 꿈/목표를 위해 노력할 때 나오는 본질적인 고통은 덜 고통스러워진다 고통- 높은 곳으로 통 한다.

성장 2022.01.09

우리는 왜 만족하기 힘들까?

https://youtu.be/dzxG5EkHK6o 만족의 상태는 영원히 성취할 수 없다. 차라리 잊어버리고 사는 게 훨씬 도움이 된다. '왜 만족하기 힘들까?'질문 자체가 잘못되었다기보다는 성취할 수 없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으며 끝없이 갈구하다가 허무주의에 빠져버리는 것 보다는 차라리 그 사실을 인정하고 잊어버림으로써 그 자리에 멈추기 보다는 그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행동 그 자체에 의미를 두자. 시지프스의 돌 옆에 앉아서 시간 때우는 것보다는 돌을 언덕위로 굴리는게 더 가치있는 일이다. 나의 미래 행동 지침 1.행복은 큰 행복 1번보다 작은 행복 수 만 번이 좋다 2.행복은 결과보다 과정에서 더 많은 행복을 느낀다

성장 2022.01.05

올 한해 내 인생에 전념하고 싶은 사람들

https://youtu.be/nkqmXK-szi0 여러가지 선택지가 많은 요즘에 ‘느리지만 필요한 일에 전념하는 자세’ 가 중요함을 한번 더 깨닫는다. 깊게 몰입하지 않으면 어떤 시도를 해도 통찰이 없다는 생각도 든다. 올 한해 주어진 시간을 어떤일에, 어떤 사람과의 시간에 전념해야 할지 고민해보게 되었다. 진정한 정체성과 자유, 기쁨을 회복하는 꾸준함의 미덕을 선사하는 전념

성장 2022.01.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