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Nest js 컨트롤러 공부
app.controller 파일의 규칙
클래스 형식의 규칙. 이름은 파일명과 동일하게 작성. 위에 애노테이션@ 달아준다
대부분의 nest js 서버를 만드는 데 필요한 것은 @nestjs/common에 있다
@Get은 Http의 get 요청과 같다
터미널에서 pnpm start:dev 입력한다
코드를 수정하고 저장하면 pnpm star:devt가 자동으로 실행이 된다
그리고 나서 PostMan을 실행한다
아래의 이미지의 과정을 수행한



localhost or 127.0.0.1 = 현재 컴퓨터IP
1번에 http://localhost:3000 입력
2번 send을 클릭시
3번에 @get의 return의 내용이 잘 응답되었는지 확인.
404 error가 발생하는 이유
404 Not Found 오류는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 또는 애플리케이션)가 요청한 리소스를 서버에서 찾을 수 없을 때 발생하는 HTTP 상태 코드입니다. 이는 클라이언트 측 요청이 서버에서 유효한 경로로 연결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Movie API 설계
GET /movie
여러개의 영화를 가져온다.
GET /movie/:id
특정 영화를 가져온다.
:id는 변수를 받겠다는 뜻 ex. GET /movie/반지의제왕
POST /movie
영화를 생성한다.
PATCH /movie/:id
특정 영화를 업데이트한다.
DELETE /movie/:id
특정 영화를 삭제한다.
Put 실질적으로 많이 쓰지 않는다. 업데이트 하려다가 없으면 생성. 이런 기능이 필요하면은 put을 추가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업데이트 할지, 생성할 지에 대한 의도를 정확히 갖고 설계를 한다.
그래서 put은 일반적으로 항상 같이 설계하지 않는다.
이제 포스트맨을 이용하여, 제대로 작동이 되는지 확인해보자.
postman을 사용해보니 잘 작동이 확인되었다.
원래 우리의 의도는 localhost:3000/movie에서의 요청이 우리의 의도다. 이거는 다음시간에 배우도록 하자.




#패스트캠퍼스 #직장인자기계발 #직장인공부 #환급챌린지 #패스트캠퍼스후기 #오공완
https://bit.ly/4hTSJN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