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ftel 2023. 3. 3. 13:38
반응형

오늘은 계산기 서블릿을 만드는 실습을 진행했다.

서블릿이란 서버에서 웹페이지 등을 동적으로 생성하거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자바(Java)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말하는데 웹 요청과 응답의 흐름을 간단한 메서드 호출만으로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면 로그인을 시도할 때, 서버가 클라이언트에서 입력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결과를 리턴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계산기 서블릿을 만드는것은 자바로 계산기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서블릿의 동작과정은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요청하면 웹 서버는 그 요청을 톰캣과 같은 WAS에 위임한다.

WAS는 각 요청에 해당하는 서블릿을 실행하고 서블릿은 요청에 대한 기능을 수행한 후

결과를 반환하여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Servlet 인터페이스

• 서블릿 컨테이너가 서블릿 인터페이스에 있는 메소드들을 호출함

• 서블릿 생명주기와 관련된 메소드

• init(), service(), destroy()

서블릿도 자바 클래스이므로 실행하면 초기화부터 서비스 수행 후 소멸하기까지의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을 서블릿의 생명주기라하며 각 단계마다 호출되어 기능을 수행하는 콜백 메서드를 서블릿 생명주기 메서드라한다.

서블릿 생명주기 메서드는 아래와 같다.

초기화 : init()

  • 서블릿 요청 시 맨 처음 한 번만 호출된다.
  • 서블릿 생성 시 초기화 작업을 주로 수행한다.

작업 수행 : doGet(), doPost()

  • 서블릿 요청 시 매번 호출된다.
  • 실제로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종료 : destroy()

  • 서블릿이 기능을 수행하고 메모리에서 소멸될 때 호출된다.
  • 서블릿의 마무리 작업을 주로 수행한다.

• 서블릿 기타 메소드

• getServletConfig()

• getServletInfo()

URL 인코딩 (= 퍼센트 인코딩)

• URL로 사용할 수 없는 문자(예약어, Non-ASCII 문자(한글) 등)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코딩하는 것

• 인코딩 된 문자는 triplet(세 개가 한 세트)로 인코딩 되며 각각을 % 다음에 두 개의 16진수로 표현함

• 예약 문자

https://ko.wikipedia.org/wiki/%ED%8D%BC%EC%84%BC%ED%8A%B8_%EC%9D%B8%EC%BD%94%EB%94%A9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수강료0원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캠인강후기 #패스트캠퍼스후기 #환급챌린지 #오공완 #10개 프로젝트로 완성하는 백엔드 웹개발(Java/Spring) 초격차 패키지 Online.


* 필수 링크 : http://bit.ly/3Y34pE0

반응형